티스토리 뷰

구조체

구조체가 무엇인지 알고 용도를 설명할 수 있다.
구조체를 용도에 맞게 정의하고 선언할 수 있다.

구조체 이해

1.구조체란?
  1. 사용자 정의 데이터 타입
  2. 관련 있는 데이터를 묶어서 처리할 수 있는 자료구조
  3. 서로 다른 데이터 타입의 묶음
  4. 서로 다른 데이터 타입을 묶어서 처리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정의하는 데이터 타입
2.구조체 정의방법
  1. 구조체의 멤버로 일반 변수뿐만 아니라 배열이나 포인터 선언 가능
  2. 구조체를 정의하면 새로운 데이터형이 만들어짐
  3. 구조체 정의 → 메모리 할당의 의미는 아님
  4. 구조체형 변수 선언 → 메모리에 할당
  5. 구조체의 크기는 모든 멤버들의 크기의 합보다 크거나 같은
  6. 구조체 멤버 중 가장 큰 멤버의 크기를 기준으로 멤버 할당(Padding)
  7. 구조체의 크기를 구하려면 sizeof연산자를 이용함
3.구조체 선언

struct 구조체명 변수명1, 변수명2, ...;

구조체 처리

1.초기화
  1. 선언 시 초기화는 배열 초기화와 동일
  2. {} 안에 멤버들의 초기값을 순서대로 나열
  3. {} 안에 지정한 초기값이 멤버의 개수보다 부족하면 나머지 멤버들은 0으로 초기화
  4. 멤버 접근 연사"."을 이용한 초기화 가능
  5. 같은 구조체형의 변수들끼리는 서로 초기화나 대입이 가능함
  6. 구조체 간의 초기화 : 멤버 대 멤버 초기화
  7. 구조체 간의 대입 : 멤버 대 멤버 대입

구조체 이해

  • 구조체는 서로 다른 데이터를 묶어서 처리하기 용이한 자료구조임
  • 구조체는 먼저 정의하고 변수를 선언하여 이용함
  • 구조체 선언 시 구조체명 앞에 struct라는 키워드를 사용해야 함
  • 구조체 변수는 모든 데이터 타입을 사용할 수 있음

구조체 처리

  • 구조체는 선언 시 초기화하는 것이 가능함
  • 선언 시 초기화에는 배열과 동일한 방법으로 초기화함
  • 구조체도 필요에 따라 구조체 배열을 선언하는 것이 가능함
  • 구조체 포인터로 구조체 멤버에 접근할 때는 간접 접근 연산자 ->를 사용함

'JAVA기반 스마트웹 개발2021 > 프로그래밍 언어활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함수의 인자  (0) 2021.08.01
공용체와 열거체  (0) 2021.08.01
포인터와 문자열  (0) 2021.08.01
포인터 활용  (0) 2021.07.28
포인터의 기초  (0) 2021.07.28
댓글
© 2018 webstoryboy